藝術

[명화]정미조 가공(架空)의 풍경...

봄의화신 2009. 9. 2. 17:11

정 미 조 ~
가공(架空)의 풍경..







자화상/1984





정열/1984






여인/1984





물위에서/1985





고독한여인/1985






무엇을하고있는것일까?/1993

 






Sign.figuration.symbol(기호.형상.상징)1995_1

 





 


Sign.figuration.symbol(기호.형상.상징)1995

 





 


Sign.figuration.symbol(기호.형상.상징)/1996

 

 





 

 


Sign.figuration.symbol(기호.형상.상징)1997

 

 





 

 


Sign.figuration.symbol(기호.형상.상징)1997

 

 




 


Sign.figuration.symbol(기호.형상.상징)1998

 

 




 


Transfiguration(변모)/1999

 

 





 


Transfiguration(변모)/1999

 

 






Trsnsfiguration(변모)

 

                                Prelude Pour Piano (피아노를 위한 전주곡) / Saint Preux Orch.**


                                           



경기도 김포 출생
1972 이화여대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1980-84 국립장식 미술 학교 학위 취득 (Paris)
1984-93 파리7대학 박사학위 취득(Paris)
2000 파리4대학 특강 "한국미술"(Sorbonne-Paris)
수원대학교 서양화과 교수



정미조의 예술세계는
그 동안 세단계의 발전과정을 거쳐왔다.
파리유학시절에 시도하였던
서정적 스타일의 인물묘사와
붓을 소재로 한 소재주의적 접근이 첫단계이며
두 번째는 귀국 후 전시에서 보여준
거친 붓질을 통한 무속적 정신세계, 그리고 95년부터 현재까지
지속하고 있는 몸짓(gesture) 연작이
그것이다.

미술대학에서 회화를 전공하였으나
오랜동안 대중문화의 무대에서 관객과 만났던
그가 어느날 다시 전업작가가 되기 위하여
전격적인 화가로의 길을 재촉한 이후,
정미조는 상기한 세단계를 통해 예술과 자신의 체질을
저울질해 온 듯하다. 

정미조가
최근 작업을 통하여 보다 구체성을 획득해 가고 있는
「기호, 형상, 상징」 시리즈는
초기단계에서 인체의 율동과 색채를
다변화시킨 몸짓을 형상화해 왔으나
최근에는 몸짓이 생산해내는
기호와 메시지가 의미하는 복합적 상징체계를 가미하고 있다.

색채의 장식성이나
다변성이 자제되고 몸짓이 상징하는 의식,
의례가 문맥화되면서 작업은 보다 사변과 논리를 띠게 된다.

이를테면
행위의 퍼포먼스적 요소가
자아심리를 벗어나 적극적으로 사회성을
가미하면서 발효된 회화의 맛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  이용우 -

 
 

'藝術'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화]피사로의 작품들  (0) 2009.09.07
[명화]천경자 화백  (0) 2009.09.03
[명화]한국화 수상작  (0) 2009.08.27
반 고흐  (0) 2009.08.24
피카소의 작품세계와 여인들  (0) 2009.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