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3대를 못간다
♣ 부자 3대를 못 간다 ♣
'부자 3대를 못 간다.' 는 말이 있다.
그러나 경주 최부잣집의 만석꾼
전통은 이 말을 비웃기라도 하듯
1600년대 초반에서 1900년 중반까지
무려 300년동안 12대를 내려오며
만석꾼의 전통을 가졌고 마지막에는 1950년,
전 재산을 스스로 영남대의 전신인
‘대구대학’에 기증함으로써,
스스로를 역사의 무대 위로 던지고 사라졌다.
그동안 300년을 넘게 만석꾼 부자로
지켜올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이었을까?
최부잣집 가문이 지켜 온
가훈은 오늘날 우리를 다시 한번 되돌아보게 한다.
1. 진사(제일 낮은 벼슬.단순 명예직.)
이상의 벼슬을 하지 말라.
높은 벼슬에 올랐다가 휘말려 집안의 화를 당할 수 있다.
2. 재산은 1년에 1만석(약 5천 가마니)이상을 모으지 말라
지나친 욕심은 화를 부른다.
1만석 이상의 재산은 이웃에 돌려 사회에 환원했다.
3. 나그네를 후하게 대접하라.
누가 와도 넉넉히 대접하여,
푸근한 마음을 갖게 한 후 보냈다.
4. 흉년에는 남의 논, 밭을 사지 말라.
흉년 때 먹을 것이 없어서 남들이 싼 값에 내 놓은
논밭을 사서 그들을 원통케 해서는 안 된다.
5. 가문의 며느리들이 시집오면 3년 동안 무명옷을 입혀라
(3년동안 비단옷을 입히지 마라.)
내가 어려움을 알아야 다른 사람의 고통을 헤아릴 수 있다.
6. 사방 100리 안에 굶어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
특히 흉년에는 양식을 풀어라.
- [경주 최부잣집 300년 부의 비밀] 중에서 -
최부자 가문의 마지막 부자였던
최준(1884-1970)의 결단은
또 하나의 인생 사표(師表)입니다.
못다 푼 신학문의 열망으로
영남대학의 전신인 대구대와 청구대를 세웠고
백산상회를 세워 일제시대에 독립자금을 지원했던 그는
노스님에게서 받은 금언을 평생
잊지 않았다고 합니다.
“재물은 분뇨(똥거름)와 같아서
한 곳에 모아 두면
악취가 나 견딜 수 없고
골고루 사방에 흩뿌리면
거름이 되는 법이다.”
온통 눈부시게 아름다운 꽃들과
몽롱해 지리만큼 향기로운 꽃향기에...
서로을 격려해주고 사랑한다 말해 주는 벗들이 있고.
사랑할수 있는 친구들이 있기에...
내게 주어진 오늘 충분히 감사할수 있는 조건 되죠?
싱그러운 봄향기처럼 산뜻하게
씩씩하고 멋지게... 홧~~팅!
전형적인 봄날에...
햇살이 예쁘게 고개를 내밀며
오늘은 좋은일이 많이 생길거라고.
말해 주는듯...
고은 햇살만큼 아름다운 미소로
화요일 화알짝~~ 열어 가시기 바래요.
2017년4월18일 화요일에...................................